본문 바로가기

(회계) IFRS3

(사업결합) PPA를 해야 하는 경우 1. 유상증자 유상증자로 인하여 매도가능증권, 지분법적용투자주식, 연결 중 Position이 변동하는 경우 2. 감자 감자로 인하여 매도가능증권, 지분법적용투자주식, 연결 중 Position이 변동하는 경우 3. 신규 설립 : PPA하지 않음. 2021. 12. 15.
IFRS 1109호. 금융자산, 부채 Point1 - 인식 금융자산 기준서 너무 어렵다. 기준서는 읽히지가 않고, 한국회의 교육자료를 봐도 감이 오지 않는다. 이번장에서는 금융자산에 대하여 분류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룰 것이다. 나름 편하게 정리하려고 했는데.. 쉬웠으면 좋겠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금융자산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. 당기손익공정가치(FVPL) 상각후원가(AC)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(FVOCI) FVPL 머리속에서 이렇게 정리하면 될 것 같다. 모든 금융자산은 보유목적만 충족하면 FVPL로 분류 가능하다! 끝. AC AC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SPPI(*)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. (*) SPPI : Solely Payments of Pr.. 2021. 9. 2.
IAS 1016호. 유형자산 Point 1. 최초 인식 후의 측정 최초 인식은 역사적원가로 수행하고, 후에는 원가모형이나 재평가모형 중 하나를 회계정책으로 선택하여 유형자산 분류별로 동일하게 적용하여야 한다. 재평가모형을 선택하는 경우, 유형자산은 재평가금액, 즉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재평가일 이후의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평가한다. 2. 감가상각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,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한다. - 중요한 부분은 별도로 분리, 혹은 중요하지 않은 경우 통합하여 감가상각 가능 - 감가상각 금액은 제조 혹은 개발비의 원가가 될수 있다. -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. - 유형자산이 운휴 중이거나 적극적.. 2021. 7. 30.